본문 바로가기
사회초년생의 사회 물들기

계약직 연말정산 어떻게? (계약직 연말정산 방법)

by popodailylife 2023. 1. 24.


요즘 회사 점심시간에 무조건 나오는 이야기는?
바로 연말정산!

연말정산: 급여소득에서 원천징수한 세액의 과부족을 연말에 정산하는 일


그런데, 그거 아시나요?
계약직은 근무시기나 기간에 따라서
연말정산 시기가 다르다는 사실!


세 번의 인턴 및 계약직 경험을 통해 깨닫게 된

☆계약직 연말정산 방법☆을 공유합니다!

 


STEP 1. 2023년도 계속근무자인지 확인하기


2022년에 이어서
2023년까지 계약기간이 걸쳐있는 경우에는

계속근무자이므로
현근무지에서 연말정산을 진행
합니다.


하지만 계속근무자가 아닌
2022년에 1년 미만으로 근무한 중도퇴사자이라면,
근무기간에 따라서 전직장에 확인이 필요합니다.


 

STEP 2. 3개월 미만 계약직이었다면 회사에 확인해보기


'계약직' 명칭을 사용하였더라도,
세법상 어떤 소득자로 분류되어있는지는
인사팀이 아닌 이상 본인이 알기 힘들겠죠?


3개월 미만 계약자가

일용직근로자로 분류되었을 경우에는 연말정산 대상자가 아니게 되므로
본인인 일용직근로자로 분류되었는지,
근로소득자로 분류되었는지
전직장에 확인이 필요합니다!



물론 계약이 만료되어서
전직장에 연락하기 주저하실수도 있겠지만,
전화 한 통에 어쩌면 세금을 환급받을 수 있다고 생각하면서 용기내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STEP 3. 5월 종합소득세 신고기간에 근로소득자용 종합소득세 신고하기


앞선 단계들을 통해
1) 중도퇴사자
2) 근로소득자
이 두 가지 모두에 해당하는 것을 파악하셨다면,
5월 종합소득세 신고기간에
'근로소득자용 종합소득세'를 신고하시면 됩니다.

단, 전직장에 따라서 3개월 이상 근무하였다면 전직장에서 알아서 연말정산을 진행해주는 경우도 있습니다.

저 역시 세 번의 인턴 및 계약직 경험 중
한 번은 따로 요청드리지 않았음에도 회사에서 자체적으로 해주셨고,
한 번은 회사에 연말정산 문의를 드리니 처리해주셨고,
한 번은 아예 5월 연말정산때 직접 신청을 해야한다고 말씀해주시는 등

회사마다 천차만별이었습니다..


전직장에서 연말정산을 처리해주는 경우에는?
보통 2월달에 환급금이 들어오니,
전직장 이름으로 나도 모르는 돈이 입금되었다면,
전직장에서 연말정산 처리해주셨구나!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계약직 연말정산!
5월에 잊지말고 소득신고해서
13월의 월급 꼭 챙기세요!